top of page
Search
  • Writer's picturesisyphusgg

2022년 1학기 대학원 과목 <기술사 연구> 안내

2022년 1학기 대학원 수업 <기술사 연구>를 안내합니다.


담당교수: 송성수

수강생: 권순배, 송기중

강의시간: 토요일 10시부터 12시 30분까지

강의실: 1물리관 003호

(*는 optional reading)

1-2. 기술사의 주요 주제

김명진,<<세상을 바꾼 기술, 기술을 만든 사회>> (궁리, 2019).

홍성욱,<<모던 테크>> (EBS, 2020).

송성수, “에디슨의 사례를 통한 공학소양교육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제13권 1호 (2010), pp. 17-22.

* 이인식 외, <<세계를 바꾼 20가지 공학기술>> (생각의 나무, 2004; 글램북스, 2015).

* 김도연, <<우리시대 기술혁명>> (생각의 나무, 2004; 글램북스, 2015).

* 최형섭, <<그것의 존재를 알아차리는 순간: 일상을 만든 테크놀로지>> (이음, 2021).

3. 기술의 역사적 흐름

프리드리히 클렘(이필렬 옮김), <<기술의 역사>> (미래사, 1992).

송성수, “산업혁명의 역사적 전개와 4차 산업혁명론의 위상”, <<과학기술학연구>> 제17권 2호 (2017), pp. 5-40.

* 루카 프라이올리(이충호 옮김), <<기술의 역사>> (사계절, 2004).

* 버나드 카슨 외(남경태, 이충호 옮김), <<말랑하고 쫀득한 세계사 이야기(Technology in World History)>> 총3권 (푸른숲, 2009).

* 마르티나 헤슬러(이덕임 옮김), <<기술의 문화사>>(생각의 나무, 2013).

* 토머스 미사(소하영 옮김), <<다빈치에서 인터넷까지>> (글램북스, 2015).

* 다니엘 헤드릭(김영태 옮김), <<테크놀로지: 문명을 읽는 새로운 코드>> (다른 세상, 2016).

* 제임스 매클렐란, 해러드 도른(전대호 옮김), <<과학과 기술로 본 세계사 강의>>(모티브북, 2006).

4. 기술의 진화(1)

조지 바살라(김동광 옮김), <<기술의 진화>> (까치, 1996), 1-3장.

송성수, “기술진화론의 가능성과 통사적 기술사의 필요성”, <<한국과학사학회지>> 제18권 2호 (1996), pp. 201-205.

* 루이스 멈퍼드(문종만 옮김), <<기술과 문명>> (책세상, 2013).

5. 기술의 진화(2)

조지 바살라(김동광 옮김), <<기술의 진화>> (까치, 1996), 4-7장.

송성수, “자동차의 일생에 관한 역사와 쟁점”,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편저, <<포스트휴먼 시대를 달리는 자율주행자동차: 입법전략>> (아카넷, 2017), pp. 23-58.

* 데이비드 에저턴(정동욱, 박민아 옮김), <<낡고 오래된 것들의 세계사: 석탄, 자전거, 콘돔으로 보는 20세기 기술사>> (휴먼사이언스, 2015).

6. 기술의 사회적 형성

송성수 편역, <<우리에게 기술이란 무엇인가>> (녹두, 1995), #4(MacKenzie and Wajcman), #6(Noble), #7(Hughes), #8(Cowan).

송성수, “기술과 사회를 보는 시각”, 한국과학기술학회 편, <<과학기술학의 세계: 과학기술과 사회를 이해하기>> (휴먼사이언스, 2014), pp. 87-115.

* 송성수 편저,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새물결, 1999).

7. 영국의 산업혁명

김종현, 󰡔영국 산업혁명의 재조명>>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6장, 9장, 12장.

송성수, “산업혁명기의 기술혁신에 미친 과학의 영향”, <<서양사론>> 제94호 (2007. 9), pp. 229-246.

* 윌리엄 로젠(엄자현 옮김), <<역사를 만든 위대한 아이디어>> (21세기북스, 2011).

* 뽈 망뚜(정윤형, 김종철 옮김), <<산업혁명사>>, 총2권 (창작과 비평사, 1987).

* 토머스 애슈턴(김택현 옮김), <<산업혁명 1760-1830>> (삼천리, 2020).

8. 중간고사

9-10. 근대 기술과 사회

루스 코완(김명진 옮김), <<미국 기술의 사회사>> (궁리, 2012), 1-6장, 7-13장.

* 토머스 휴즈(김명진 옮김), <<현대 미국의 기원: 발명과 기술적 열정의 한 세기 1870~1970>>, 총2권 (나남, 2017).

* 마이클 에이더스(김동광 옮김), 󰡔기계, 인간의 척도가 되다>> (산처럼, 2011).

* 대니얼 헤드릭(김우민 옮김), 󰡔과학기술과 제국주의: 증기선, 키니네, 기관총>> (모티브북, 2013).

11. 20세기 기술의 문화사

김명진, 󰡔20세기 기술의 문화사: 핵, 우주, 인공지능, 생명공학으로 본 야누스의 과학기술>> (궁리, 2018).

* 김명진, 󰡔야누스의 과학: 20세기 과학기술의 사회사>> (사계절, 2008).

* 나카야마 시게루(이필렬, 조홍섭 옮김), 󰡔과학과 사회의 현대사>> (풀빛, 1982).

12-13. 기술의 정치학

실라 재서노프(김명진 옮김), <<테크놀로지의 정치: 유전자 조작에서 디지털 프라이버시까지>> (창비, 2022), 1-4장, 5-9장.

* 실라 재서노프(박상준 옮김), <<누가 자연을 설계하는가>> (동아시아, 2019).

* 실라 재서노프(박상준 옮김), <<법정에 선 과학>> (동아시아, 2011).

* 송성수, 최경희, <<과학기술로 세상 바로 읽기>> 제2판 (북스힐, 2017).

14. 기술사 논문 읽기

Technology and Culture

History and Technology

American Heritage of Invention & Technology

15. 기말고사

[pre-required readings]

송성수, <<기술의 역사: 뗀석기에서 유전자 재조합까지>>(살림, 2009).

송성수, <<사람의 역사, 기술의 역사>> 제3판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송성수, <<발명과 혁신으로 읽는 하루 10분 세계사: 종이에서 로봇까지>> (생각의 힘, 2018).

송성수, <<세상을 바꾼 발명과 혁신: 피라미드에서 인공지능까지>> (북스힐, 근간).

[기말과제물]

기술사의 특정한 주제에 관한 소논문: (예) 달력, 철도, 전화 등

A4 7매 이상(직접 인용이나 중요한 사항은 각주)

<<한국과학사학회지>>, <<과학기술학연구>>의 논문작성 방법



[협동과정] 기술사(2022년)
.hwp
Download HWP • 153KB



82 view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