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earch
  • Writer's picturesisyphusgg

2021년 2학기 대학원 과목 <환경사 특강> 안내



환경사특강

(과학 분야사 연구)


수요일 오후 7:00-10:00

담당교수: 현재환 (jhwanhyun@pusan.ac.kr)

수업 장소: 206-11302 (11공학관 302호)

면담 장소 및 가능 시간: 12공학관 320호 (TBA)




목표:

본 수업은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이 자연과 사회, 과학기술과 사회, 인간과비인간에 대한 이분법을 문제시하며 현대 환경 문제들에 대해 도전한 이래 STS와의 상호작용 가운데 새로이 등장한 20세기 환경사 서술들을 검토한다. 본 수업을 통해 수강생은 다음의 두 가지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STS와 환경사의 긴밀한 연관성을 이해하고, 두 분야의 교차점 가운데 제출되는새로운 연구 동향을 파악한다. 둘째, 서구 사례에서 도출된 이론적, 학문적 쟁점들을 이상화하는 대신, “이곳”(부산, 한국, 동아시아, 아시아, 비서구)의문 제를 인식 및 검토할 때 어떤 도움을 줄 수있는지, 그리고 “이곳”의 사례가이런 쟁점들을 재구성하는데어떤 기여를 할수 있는지를 집합적으로 성찰하고 토의한다.



진행 방안:

매주 환경사와 과학사, STS를 교차하는 연구서들을 읽어나간다. 방학 모임을 포함한 첫 3주 동안은 관련 개론서를, 이후에는자연의 정치, 생물권과 과학, 환경과 전쟁, 동아시아 환경사 등을 주제로한 저술들을 읽는다. 모든 수업 참여자들은 본인이 맡은 글을 숙독한 후 발제한 내용을 Dropbox에 수업 전일 자정까지 업로드해야한다. 참여자들은 해당 발제문들을 읽고 질문 및 토의거리를 준비해야 한다.



과제:

  1. 매주발제: 지정도서 1-3장내외.

  2. 중간서평: 브뤼노 라투르 저, 박범순 역,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신기후체제의 정치 』 (서울: 이음, 2021)

  3. 기말보고서: 둘 중 택일 (1) “인류세”, “느린 폭력”, “자연의 정치” 등 키워드를 중심으로 국내 STS/환경사/환경사회학연구들에 대한 종설 보고서 작성 (2) 부울경 지역 사례 연구



0주. 방학 중 사전 독서 모임

J. R. 맥닐 저, 홍욱희 역, 『20세기 환경의역사』 (서울: 에코리브르, 2008)


1-4주. 개관


1주. 환경사, 인류세, 과학사: 인류세 논쟁을 통해 본 과학기술학의 환경-인간관

1. 공통 도서

얼 C. 앨리스 저, 김용진, 박범순 역, 『인류세』 (서울: 교유서가, 2021)


2. 개별 발제

티모시 M. 렌턴, 브뤼노 라투르 저, 우지수 역, “가이아 2.0: 인간은 자기-규제에 자기 인식을 더할 수 있을까?” (https://anthropocenestudies.com/wp-content/uploads/2019/10/EPI_no9_Anthropocene_LentonLatour.pdf)

도나 해러웨이 저, 최유미 역, 『트러블과 함께하기 - 자식이 아니라 친척을 만들자』, (파주: 마농지, 2021), 2장 “촉수사유: 인류세, 자본세, 쏠루세.”

클라이브 해밀턴 저, 정서진 역, 『인류세: 거대한 전환 앞에 선 지구 시스템』 (이상북스, 2018), 2장, “새로운 인간중심주의.”

제이슨 무어 저, 김효진 역,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갈무리, 2020), 7장, “인류세인가 자본세인가.”


2주. 환경 개념의 역사와 과학

Libby Robin, Paul Warde, and Sverker Sörlin, The Environment: A History of the Idea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8)


3주. 환경 논쟁의 지렛대로서의 과학사

나오미 오레스케스, 에릭 콘웨이 저, 유강은 역, 『의혹을 팝니다: 담배산업에서 지구 온난화까지 기업의 용병이 된 과학자들』 (서울: 미지북스, 2012)


4주. 추석 휴강


5-7주. 자연의 정치


5주. 물질성

리처드 화이트 저, 이두갑, 김주희 역, 『자연기계: 인간과 자연, 환경과 과학기술에 대한 질문』 (서울: 이음, 2018)

다큐멘터리: Artifishal 개별 시청


6주. 에너지 정치

티모시 미첼 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역, 『탄소민주주의: 화석연료시대의정치권력』 (서울: 생각비행, 2017)


7주. 환경과 불평등

롭 닉슨 저, 김홍옥 역, 『느린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 (서울: 에코리브르, 2020)


8주. 중간서평 제출 및 기말보고서 면담


9-10주. 생물권과 멸종의 과학


9주. 제 6의 대멸종

David Sepkoski, Catastrophic Thinking: Extinction and the Value of Diversity from Darwin to the Anthropocen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Jon Agar, “What Counts as Threatened? Population Biology, Objectivity and the Sixth Extinction” (unpublished manuscript)


10주. 지구적 환경주의와 생물권 개념의 부상

Perrin Selcer, The Postwar Origins of the Global Environment: How the United Nations Built Spaceship Earth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

Raf De Bont, Nature’s Diplomats: Science, Internationalism, and Preservation, 1920-1960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21)


11-12주. 환경과 전쟁


11주. 군사화된 경관

데이비드 하블릭 저, 박수철 역, 『무기가 사라진 DMZ』 (북스힐, 2020)

David Biggs, Footprints of War: Militarized Landscapes in Vietnam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8)

J.R. McNeill and Peter Engelke, The Great Acceleratio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Anthropocene since 1945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Ch.4. “Cold War and Environmental Culture.”


12주. 환경주의의 군사적 기원

Jacob Darwin Hamblin, Arming Mother Nature: The Birth of Catastrophic Environmental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3-15주. 동아시아 환경사


13주. 산업재해

Brett L. Walker, Toxic Archipelago: A History of Industrial Disease in Japan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14주. 산림녹화

David Fedman, Seeds of Control: Japan's Empire of Forestry in Colonial Korea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0)


15주. 한국 환경사의 가능성과 전망

John S. Lee, “Editor’s Introduction: New Perspectives from Korean Environmental His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5 (2020): 1-13.

Scott Gabriel Knowles, “Slow Disaster in the Anthropocene: A Historian Witnesses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Dædalus 149 (2020): 192-206.

고태우, “한국 근대 생태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생태환경과역사』 2 (2016): 31-70.

최명애, 박범순, “인류세 연구와 환경사회학: 새로운 질문들”, 『환경사회학연구 ECO』 23 (2019): 7-41.




233 view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