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syphusgg
2021년 2학기 대학원 과목 <과학기술정책론> 안내
2021년 2학기 대학원 전공 수업 <과학기술정책론> (담당교수: 송성수)를 안내합니다.
1. 과학, 기술, 정책의 개념
2-3. 과학기술정책의 역사적 전개
4. 기술혁신의 의미와 유형
5. 기술혁신의 모형과 패턴
6-7. 기술혁신의 최근 이슈: 파괴적 혁신 등
8. 중간고사
9. 혁신체제론의 이해
10-11. 기술혁신에서 국가의 역할
12.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전개
13-14.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주제
15. 기말고사
※ 밑줄 친 부분은 세미나, 나머지는 강의 혹은 발표
cf. 기술사업정책전공(계약학과)
1. 과학, 기술, 정책의 개념 (강의)
송성수, <기술혁신이란 무엇인가> (생각의 힘, 2014), 1장.
홍성욱, “과학과 기술의 상호작용: 지식으로서의 기술과 실천으로서의 과학”,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1999), pp. 193-220.
송성수, “과학기술과 공공정책”, 송성수, 최경희, <과학기술로 세상 바로 읽기> 제2판 (북스힐, 2017), pp. 347-358.
송위진, “기술혁신정책의 진화와 과제”,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의 세계: 과학기술과 사회를 이해하기> (휴먼사이언스, 2014), pp. 361-392.
* Policy; Science Policy; Technology Policy; Innovation Polic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STP);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STI Policy) 등을 검색해 보기
https://www.encyclopedia.com/science/encyclopedias-almanacs-transcripts-and-maps/science-policy
* 박범순, 김소영 엮음, <과학기술정책: 이론과 쟁점> (한울, 2015).
* 이장재, 현병환, 최영훈, <과학기술정책론: 현상과 이론> (경문사, 2011).
* 최석식, <과학기술정책론> (시그마프레스, 2011).
* 이정동, <공학기술과 정책> (지호, 2011).
* 홍영득, <과학기술정책론: 거버넌스적 이해> (대영문화사, 2016).
* 송위진, <창조와 통합을 지향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2010).
* 송위진, 성지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2013).
* 정선양, <기술과 경영> 제3판 (시대가치, 2018).
2-3. 과학기술정책의 역사적 흐름 (세미나)
오진곤 편저, <과학정책: 연구체제의 역사적 접근> (전파과학사, 1998), 1-4장 & 5-8장.
* 송성수, “과학기술자사회의 형성과 특징”, 송위진 외,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특성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pp. 27-71.
* 아안트 엘진가, 앤드류 재미슨(김명진 옮김), “전후 과학기술정책 의제의 변화”, <시민과학> 제25호 (2001), pp. 26-44; A. Elzinga and A. Jamison, “Changing Policy Agenda in Science and Technology”, S. Jasanoff, et al.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ondon: Sage Publications, 1995), pp. 572-597.
.* 아리모토 다테오(김종회 옮김), <과학기술의 흥망> (한국경제신문사, 1997).
* Joseph Ben-David, The Scientists’ Role in Society: A Comparative Study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1971).
* 이석민, “국가혁신체제와 국가의 역할: 미국과 독일의 과학기술정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 배영자, <미국의 지식패권과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 로렌 그레이엄(최형섭 옮김), <처형당한 엔지니어의 유령: 테크놀로지와 기술제국 소련의 몰락> (역사인, 2017).
* 안병직, 이종윤 편, <일본의 산업기술> (서울대학교경제연구소, 1992).
* 조황희, <일본의 과학기술체제와 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 황용수 외,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발전방향 연구: 선진국 과학기술행정체제 분석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Outlook, each year.
4. 기술혁신의 의미와 유형 (강의)
송성수, <기술혁신이란 무엇인가> (생각의 힘, 2014), 2장.
* 토머스 매크로(김형근, 전석헌 옮김), <혁신의 예언자: 우리가 경제학자 슘페터에게 오해하고 있었던 모든 것> (글항아리, 2012).
* C. K. Prahalad and G. Hamel,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 68, No. 3 (1990), pp. 79-87.
* R. M. Henderson and K. B. Clark, “Architectural Innovation: The Reconfiguration of Existing Product Technologies and the Failure of Established Fir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5, No. 1 (1990), pp. 9-30.
* C. Freeman, and C. Perez, “Structural Crisis of Adjustment: Business Cycles and Investment Behaviour”, G. Dosi, et al (eds.), Technical Change and Economic Theory (London: Pinter Publishers, 1988), pp. 38-66.
* OECD, 이근 외 옮김, <과학과 기술의 경제학> (경문사, 1995).
* 김정홍, <기술혁신의 경제학> 제4판 (시그마프레스, 2011).
* 이원영, <기술혁신의 경제학> (생능출판사, 2008).
5. 기술혁신의 모형과 패턴 (강의)
송성수, <기술혁신이란 무엇인가> (생각의 힘, 2014), 3장.
* S. Kline and N. Rosenberg, “혁신 과정의 이해”, 송성수 엮음, <우리에게 기술이란 무엇인가: 기술론 입문> (녹두, 1995), pp. 361-397.
* S. C. Wheelwright and K. B. Clark, “Creating Project Plans to Focus Product Development”,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0, No. 2 (1992), pp. 70-82.
* K. Pavitt, “Sectoral Patterns of Technical Change: Towards a Taxonomy and a Theory”, Research Policy, Vol. 13, No. 4 (1984), pp. 343-373.
* F. Malerba and L. Orsenigo, “Technological Regimes and Sectoral Patterns of Innovative Activitie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Vol. 6, No. 1 (1997), pp. 83-117.
* 제임스 어터백(김인수 외 옮김), <기술변화와 혁신전략> (경문사, 1997).
* 멜리사 쉴링(김길선 옮김), <기술경영과 혁신전략> 제6판 (McGraw-Hill, 2020).
* J. Tidd and J. Bessant, Managing Innovation: Integrating Technological, Market and Organizational Change, 6th ed. (Chichester: John Wiley & Sons, 2018).
cf. 한국의 기술혁신
송성수, “한국의 기술발전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와 제언”, <한국과학사학회지> 제40권 1호 (2018), pp. 91-113.
송성수, “현대자동차의 알파프로젝트 추진과정과 그 특성에 관한 역사적 분석”, <한국민족문화> 제78집 (2021), pp. 351-382.
* Linsu Kim, Imitation to Innovation: The Dynamics of Korea's Technological Learning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국역: 임윤철, 이호선 옮김, <모방에서 혁신으로> (시그마인사이트컴, 2000)].
* 이근 외, <한국산업의 기술능력과 경쟁력> (경문사, 1997).
* K. Lee and C. Lim, “Technological Regimes, Catching-up and Leapfrogging: Findings from the Korean Industries”, Research Policy, Vol. 30, No. 3 (2001), pp. 459-483.
* 송성수, <한국의 산업화와 기술발전> (들녘, 2021).
6-7. 기술혁신론의 최근 이슈: 파괴적 혁신 등 (세미나)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마이클 레이너(딜로이트 컨설팅 코리아 옮김), <성장과 혁신> (세종서적, 2007), 1-5장 & 6-10장.
* 클레이튼 크리스텐슨(이진원 옮김), <혁신기업의 딜레마> (세종서적, 2009).
*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스콧 앤서니, 에릭 로스(이진원 옮김), <미래 기업의 조건> (비즈니스북스, 2005).
* 이형진, 김길선, 김미리, “시장의 관점을 통한 파괴적 혁신의 이해”, <Korea Business Review> 제20권 1호 (2016), pp. 43-67.
* 헨리 체스브로(김기협 옮김), <오픈 이노베이션> (은행나무, 2009).
* 김석관, “개방형 혁신은 새로운 혁신 방법론인가?: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기술혁신연구> 특별호 (2009), pp. 99-133.
* 에릭 폰 히펠(배성주 옮김), <소셜 이노베이션> (디플BIZ, 2012).
* 비제이 고빈다라잔, 크리스 트림블(이은경 옮김), <리버스 이노베이션> (정혜, 2013).
* 제프 멀건(김영수 옮김), <사회 혁신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하며, 어떻게 추진하는가> (시대의창, 2011).
* 박노윤, 이은수,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의 흡수능력: 딜라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와 기업연구> 제8권 1호 (2015), pp. 39-75.
8. 중간고사
9. 혁신체제론의 전개(강의)
송성수, <기술혁신이란 무엇인가> (생각의 힘, 2014), 4장.
송위진, “국가혁신체제론의 혁신정책”, <행정논총> 제47권 3호 (2009), pp. 79-104; 송위진, <창조와 통합을 지향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2010), pp. 13-41.
* B-A Lundvall (ed.),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London: Pinter Publishers, 1992).
* R. R. Nelson (e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 OECD, Managing National Innovation Systems (Paris: OECD, 1999).
* F. Geels, “From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to Socio-technical Systems”, Research Policy, Vol. 33, No. 6 (2004), pp. 897-920.
* 제라르데 말레토 외(임홍탁 옮김), <전환적 혁신정책과 사회기술지도>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송위진 외, <사회기술시스템 전환: 이론과 실천> (한울, 2017).
10-11. 기술혁신에서 국가의 역할 (세미나)
마리아나 마추카토(김광래 감역), <기업가형 국가: 공공경제부분의 한계 극복 대안> (매일경제출판사, 2015), 0-4장 & 5-10장.
* 정정길 외, <정책학원론> 개정증보판 (대명출판사, 2010; 2020).
* 남궁근, <정책학> (법문사, 2012; 2021).
* 유훈, 김지원, <정책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
* 오석홍, 김영평 외, <정책학의 주요 이론> 제2판 (법문사, 2006).
* 데이비드 거스턴, “위임자-대리인 이론과 과학정책의 구조”, 박범순, 김소영 엮음, <과학기술정책: 이론과 쟁점> (한울, 2015), pp. 59-85.
12.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전개 (강의)
송성수,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과학기술학연구> 제2권 1호 (2002), pp. 63-83; 송성수,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윤용만, 여택동 외, <한국의 경제정책> (박영사, 2005), pp. 51-70.
송성수, “한국의 과학기술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7권 1호 (2007), pp. 117-150; 송성수, <과학기술과 사회의 접점을 찾아서: 과학기술학 탐구> (한울, 2011), pp. 149-184에 재수록.
송위진, “200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창조’와 ‘통합’의 지향”, <과학기술학연구> 제9권 2호 (2009), pp. 1-27; 송위진, <창조와 통합을 지향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2010), pp. 43-67.
* 임홍탁, “국민의 창의성과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창조경제 패러다임 정립을 위한 문헌 연구”, <기술혁신연구> 제22권 3호 (2014), pp. 135-166.
* 홍성주, 송위진, <현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추격의 성공과 탈추격 실험> (들녘,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 50년사> 총3권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연감>, 각년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각년도.
13-14.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주제 (강의/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2018).
* 과학기술정책에 관한 통계자료
* 강근복 외,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쟁점> (한국학술정보, 2008).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허두영, 김근배 외), <한국과학 비상플랜: 과학기술 50년, 오늘을 성찰하고 내일을 설계하다> (들녘, 2016).
* 박대인, 정한별, <과학기술의 일상사> (에디토리얼, 201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 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 각년도.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 각년도.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www.pacst.go.kr) cf. 국가과학기술심의회/국가과학기술위원회(www.nstc.go.kr)
15. 기말고사
cf. 과학기술학(STS)과 과학기술정책(STP)
김은성, “과학기술학이 보는 공공정책”,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의 세계: 과학기술과 사회를 이해하기> (휴먼사이언스, 2014), pp. 335-362.
박희제, 김은성, 김종영,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2호 (2014), pp. 1-47.
* S. Jasanoff (ed.), Comparativ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Cheltenham, UK: Edward Elgar, 1997).
* S. Jasanoff, G. E. Markle, J. C. Petersen, and T. Pinch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ondon: Sage Publications, 1995), Part 7.
* K. H. Sorensen and R. Williams, Shaping Technology, Guiding Policy (Cheltenham, UK: Edward Elgar, 2002).
* D. H. Guston and D. Sarewitz (eds.), Shap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he Next Generation of Research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 B. Martin, “The Evolution of Science Policy and Innovation Studies”, Research Policy, Vol. 41, No. 7 (2012), pp. 1219-1239.
* B. Martin, “Twenty Challenges for Innovation Studies”,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43, No. 3 (2016), pp. 432-450.
* 송위진 외,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