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구

협동과정 교수진 및 학생들의 STS 관련 연구 성과를 소개합니다 

최근 연구 

2022년

현재환, "해방 이후 한국의 ‘민족우생’론과 의과학자들, 1945~1964", <사회와역사> 136집.

현재환, 홍성욱 편, <마스크 파노라마>, 문학과 지성사.

Jaehwan Hyun, “Reconfiguring Mountaineering Expeditions: The Transwar Origins of the Korean Nature Conservation Movement, 1926–1962”, Korea Journal 62 (2022), pp.79–115.  

Jaehwan Hyun and John DiMoia, “Korean Science since the Colonial Period: Environment, Medicine, and Technology in Transwar Korea”, Korea Journal 62 (2022), pp.5–19.   

​송성수, "고중세 유럽의 교양교육에 관한 역사적 고찰: 자유학예의 형성과 진화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6권 3호, pp.45-58. 

​현재환, "일제강점기 위생 마스크의 등장과 정착", <의사학> 31권 1호, pp.181-220.

Jaehwan Hyun, "Forum Introduction: Masked Societies in East Asia: A Forum on the Socio-Material History of Face Masks",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16(1), pp.70-73.

Jaehwan Hyun, Akihisa Setoguchi, and Mary Augusta Brazelton, "Some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Masked Societies in East Asia",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16(1), pp.108-116. 

송성수, "인공지능은 인간의 일자리를 얼마나 대체할 것인가: 인공지능 시대의 기술과 노동에 관한 시론", <코기토> 96호, pp.7-31.

Jaehwan Hyun, "In the Name of Human Adaptation: Japanese American "Hybrid Children" and Racial Anthropology in Postwar Japan", Perspectives on Science 30 (1), pp.167-193.

 Jaehwan Hyun, "People in Motion: Transnational Movements and Transwar Connections in the Anthropological and Genetic Study of Human Populations", Perspectives on Science 30 (1), pp.1-12.

​슈타판 뮐러빌레, 한스외르크 라인베르거 저, 현재환 역, <유전의 문화사>,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년

​송성수, "한국의 기술발전에 관한 시기별 특성과 진화적 경로 분석", <과학기술과 사회> 창간호, pp.169-196.

Jaehwan Hyun, "Rearticulating the “Primitive”:  The Sea Women and the Emergence of Trans-Pacific Physiology", Historia Scientiarum 30 (3), pp.159-175.

송성수, “현대자동차의 알파프로젝트 추진과정과 그 특성에 관한 역사적 분석”, <한국민족문화> 제78집, pp. 351-382.

송성수, "한국 STS의 기원과 전개에 관하여​", <과학기술학연구> 21권 1호, 166-184쪽.

​송성수, <한국의 산업화와 기술발전>, 들녘출판사.

2020년

Jaehwan Hyun, "Brokering Science, Blaming Culture: The US–South Korea Ecological Survey in the Demilitarized Zone, 1963–8", History of Science, https://doi.org/10.1177/0073275320974209

Sung hwan Kim, Hyomin Kim, Sungsoo Song, "Public Deliberation on South Korean Nuclear Power Plants: How Can Lay Knowledge Resist against Expertise?",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14, pp.459-477.

Jaehwan Hyun, "Between Engagement and Isolation: Population Genetics and Transnational Nationalism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Science 42 (2), pp.357-380.

박사학위논문 

​표중규, "대중의 과학이해(PUS)와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을 연계한 기장 해수담수화 사업에 관한 분석", 2022년 2월

박정연, "한국의 원자력 역사에 관한 기술사회시스템 분석, 1955-2017 : 고리1호기의 일생을 중심으로", 2019년 2월

최종현, "약물에 의한 인지 향상에 관한 윤리적 고찰", 2017년 2월 

김구식, "과학이론과 은유: 지시를 중심으로", 2017년 2월

성경수, "현대의 탈신화화와 기술(記述)적 접근", 2017년 2월

박형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의 개발", 2010년 2월

오준영,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정신모형에 관한 연구", 2006년 2월

석사학위논문 

권수아, "장기파동이론의 고찰과 한국의 사례에 대한 적용 연구 : 기술경제 패러다임 이론을 중심으로", 2019년 2월

표중규, "한국의 맞춤신발 기술혁신에 관한 행위자-연결망 분석", 2018년 2월

손은혜, "르네상스 원근법과 광학 : 알베르티와 레오나르도를 중심으로", 2013년 8월

박정연, "<침묵의 봄>의 배경과 과학 커뮤니케이션", 2012년 2월

김성민, "김재근 연구: 조선공학과 선박사를 중심으로", 2011년 2월

박혜영, "과학기술윤리와 과학기술정책", 2006년 8월  

 강유진, "구한말에 수용된 사회진화론과 신라마르크주의", 2002년 8월  

성경수, "주체의 성장과 죽음, 그리고 이후: 기술의 문법을 중심으로", 2000년 2월

학과 발표 활동 

​여름방학 협동과정 세미나 (연사: 박혜영/동서대, 김동광/고려대), 2022년 7월 29일

​겨울방학 협동과정 세미나 (연사: 현재환/부산대, 임홍탁/서울대), 2022년 1월 21일

춘계 협동과정 워크샵: 식민지기 이후의 한국 과학: 환경, 의료, 기술과 지역적, 국제적 역할 창조하기 (연사: John DiMoia/서울대, 현재환/부산대, 박서현/Virgina Tech, 신유정/KAIST, 원주영/서울대; 토론자: 박진경/한국외대, 조은주/명지대, David Fedman/UC Irvine, 이종민/UST, 김태호/전북대, Todd A. Henry/UCSD), 2021년 5월 29일

UNIST-부산대 세미나: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를 STS 관점에서 돌아보며 (연사: 정승미/KAIST, 이우창/서울대, 김효민/UNIST), 2021년 2월 22일

겨울방학 협동과정 세미나 (연사: 박지영/인제의대, 원주영/한양대), 2021년 2월 4일

bottom of page